한글파일에서 글자수확인 방법
- 한컴오피스
- 2022. 9. 26.
한글파일에서 글자수확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정말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빠르게 카운팅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 아래아한 글을 사용 하실 때 지금까지 내가 입력한 본문 속 텍스트 수가 얼마나 되나 궁금하실 수 있는데 간단하게 세는 방법이 있습니다. 특히 자기소개서를 작성 할 때 주로 이용을 하는데 회사마다 정해진 분량 제한이 있기 때문에 그 틀에 맞춰 작성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자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알 아두면 언젠가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는 팁인 만큼 꼭 챙겨가시길 바랍니다.
한글파일에서 글자수확인 방법
먼저 샘플 텍스트를 하나 준비합니다. 그리고 화면 왼쪽 위 파일 탭을 선택합니다.
해당 탭이 열리면 아래문서 정보를 클릭하시면 됩니다.
위와 같이문서 정보창이 나타나면 이 곳에서 한글 글자수 세기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.
오른쪽문서 통계로 이동한 뒤 아래글자옆 숫자를 확인하면 됩니다. 참고로 공백 제외한 순수 텍스트 갯수입니다.
정확히 일치 하는지 테스트 해보기 위해서 내용 전체선택 후 복사하기를 누릅니다.
이어서 초록창에 위와 같이 검색 후 공란에붙여넣기하시면 됩니다.
아래아한글에선 공백 제외 총 655자인걸 알 수 있습니다.
확인 결과 초록창에서도 같은 655자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참고로 저는 비교적 오래된 한글2010을 쓰고 있어서 창에공백제외갯수는 표시되지 않는데 그 이상의 상위버전에는 제외 또는 포함 각각 의 갯수가 나타나기 때문에 조금 더 보기 편한 것 같습니다. 그래고 공백을 포함할 경우 복사-붙여넣기 과정에서 각각 인식하는 기준이 달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 할 수 있는 제외한 갯수는 같기 때문에 제외 기준으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 그리고 함께 알아두면 좋은 단축키는Ctrl + Q,I라는 점도 기억하시면 도움이 됩니다.
맺음말
한글 글자수 세기 어렵지 않지만 알아두면 유용하겠습니다.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쉽고 빠르게 갯수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. 그리고 해당 문서를 제출할 때는 공백을 빼는지 포함하는지 꼭 확인을 하고서 그 기준에 따라 분량조절을 해야 한 다는 점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지금까지 한글파일에서 글자수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